거실로 PC를 끌어내려던 인텔, 그들의 실패와 새로운 도전


인텔은 이런걸 기대했을거다. 결국 PC를 거실로 끌어내진 못했지만.

아톰 프로세서가 기반이 된 CE4100 칩셋. 바로 이 칩셋이 TV에 들어가게 된다. 사진 속 인물은 에릭 김 인텔 디지털 홈 그룹 수석 부사장. 한국인이다.

인텔 CE4100을 탑재한 TV. PC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경험을 보여줄 것이라고 인텔은 자신했다.
인텔은 이런걸 기대했을거다. 결국 PC를 거실로 끌어내진 못했지만.
아톰 프로세서가 기반이 된 CE4100 칩셋. 바로 이 칩셋이 TV에 들어가게 된다. 사진 속 인물은 에릭 김 인텔 디지털 홈 그룹 수석 부사장. 한국인이다.
인텔 CE4100을 탑재한 TV. PC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경험을 보여줄 것이라고 인텔은 자신했다.
삼성전자 LED TV
소니 퀄리아
델의 초슬림 노트북 아다모의 차기 모델 사진이 공개됐다(출처는 기즈모도). 모델명이 아다모 XPS란다. 두께가 무려 9.9mm. 종전 아다모(16.5mm)는 물론이고 얇기로 소문난 맥북 에어(19mm 가장 두꺼운 곳)의 절반 수준인 두께다.
거의 초슬림 휴대폰 수준이다. 휴대폰도 1cm 미만 얇기는 몇 개 안된다.
사진만 공개된 것이어서 이 제품 속에 뭐가 들어갈 지, 언제 나올지, 얼마가 될 지는 알 수가 없다. 그래서 궁금하다. 소니의 경우 얇게 만들려고(바이오 X 시리즈) 아톰 탑재했다던데.
한 가지 확실한 건 잘못 다루면 '똑' 부러질 수도 있겠다는 것이다. 사진을 본 혹자는 "노트북에 손 베이겠다"라고 말했다.
아무튼 델, 요즘 당신은 맨날 서프라이즈야!.
이날 행사에는 노병욱 마술사(중간)도 참석해 마술 시범을 보였다. 동영상으로 찍어 올리지 말라는 부탁과 함께~
관련 기사는 한국MS 하드웨어 신제품 윈도7과 ‘찰떡궁합’을 참조한다.
김대진 한국MS EDD(하드웨어 사업부) 상무에 따르면 국내 키보드 마우스 시장 규모는 연간 약 15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이 중 80%가 1~2만원짜리 저가형 제품이 차지하고 있으며 상위 20% 중 절반을 로지텍과 한국MS가 나눠먹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김 상무는 이날 발표한 신제품들이 윈도7과 호환성을 높인 제품인 만큼 '윈도7 특수'도 어느 정도 노려볼 만 하다고 밝혔다. 개별 제품에 대한 소개와 사진은 아래를 참조.
01. 라이프캠 VX-800
웹캠이다. VGA 센서를 단 보급형 모델이다. 자동 저조도 조정 기능을 갖춰 어두운 곳에서도 밝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오토포커스 기능도 지원한다. 원터치 버튼으로 윈도 라이브 메신저나 무비 메이커와 연동된다. 가격은 3만원대다.
02. 라이프캠 시네마
역시 웹캠이다. 16대 9 비율의 HD급(720P) 해상도와 초당 30프레임을 지원한다. 캠코더 수준의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는 게 한국MS 측의 설명이다. 특히 MS 독자 기술인 클리어프레임을 적용해 보다 매끄러운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고. 이 제품 역시 원터치 버튼으로 윈도우 라이브 메신저나 무비 메이커, 포토 갤러리 등과 연동된다. 가격은 9만원대다.
03. 무선 데스크톱 3000
무선 키보드 제품이다. 이날 출시한 무선 마우스 5000이 함께 포함된다. 윈도7의 새로운 작업 표시줄와 연동되는 핫키를 갖추고 있다. 재생, 중지, 볼륨 조절 등 미디어 컨트롤 버튼도 달고 있다. 작고 슬림한 디자인에 조용한 터치 키가 적용됐다. 가격은 8만원다.
04. 무선 컴포트 데스크톱 5000
역시 무선 키보드 제품이다. 모델명에서 알 수 있듯 3000 모델보다 상급이며 약간 휘어진 컴포트 디자인을 따르고 있다. 3000과 마찬가지로 윈도7용 핫키가 있으며 무선 마우스 5000을 포함하고 있다.
05. 무선 마우스 5000
블루트랙 기술이 적용된 마우스다. 화강암, 대리석, 카펫, 나무 등 다양한 표면에서도 원활하게 작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날 발표에서 각종 표면이 준비되어 있어 실제 체험해봤는데 이거 참 신기할 따름이다. 종이 받치는 일은 없을 듯. 두 개의 AA 배터리로 최대 8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고 윈도7용 전환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리시버를 마우스에 거치하면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한다. 배터리 수명 상태를 알려주는 기능도 있다. 가격은 5만원대다.
06. 무선 모바일 마우스 4000
노트북 사용자를 겨냥한 무선 마우스다. 소형인 것이 특징이다. 블루트랙 기술을 채용했고 블랙, 화이트, 핑크, 블루, 그린 5가지 컬러로 출시된다. 초소형 나노 리시버를 채택했다. 5만원대. 한 개의 AA 배터리로 최대 10개월간 사용할 수 있다고 한국MS 측은 밝혔다. 윈도7용 전환 버튼도 갖추고 있다.
07. 무선 모바일 마우스 6000
블루트랙을 비롯해 윈도7용 버튼을 갖추는 등 기본적인 건 4000과 똑같다. 물론 디자인은 다르다. 아래 사진을 보시라. 가격은 7만원대다.
08. 사인드와인더 X3 마우스
레이저 센서를 가진 게이밍용 마우스다. 400~2000DPI를 지원한다.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세 단계의 컨트롤 버튼이 달려 있다. 좌우 측면 낮은 곳에 기능 버튼이 이곳저곳 달려 있다. 최상의 게이밍 경험을 선사할 것이라고 한국MS는 밝혔지만 게임에서 이기고 지는 건 결국 실력이다. 좌우 대칭 디자인이라 왼손 사용자도 얼마든 지 쓸 수 있다. 가격은 4만원대다.
듀얼 스크린을 탑재한 고진샤의 넷북 프로토타입. 사진 출처는 아키바뉴스(www.akihabaranews.com)
레노버 씽크패드 W700ds
이 중 델의 래티튜드 시리즈는 중대규모 기업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일일이 나열하기가 힘들지만, 한 마디로 돈 좀 있는 기업을 타깃으로 삼아 종 특화 기능을 집어넣고 디자인에도 아낌없는 투자를 단행한 제품이 바로 래티튜드 시리즈다. 돈 없으면 사기 힘들다. 래티튜드 시리즈는 정말 비싸다.
나는 지난해 델이 래티튜드 시리즈를 내놨을 때 이게 정말 델이 많든 노트북이 맞을까라는 생각을 했고, 실제 써본 뒤 최고의 평가 점수를 줬다. 합리적인 가격의 실속형 제품을 고집했던(혹자는 싸구려 이미지가 강하다고 한다) 델이 이런 제품을 내놓다니. 오 이런 서프라이즈.
HP에 1위 자리 뺏기고 경쟁자라고는 생각할 수 없었던 (어디서 듣도보도 못한)에이서의 추격에 2위 자리 마저 위태롭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일까. 델이 최근 내놓는 제품은 누구나 감히 생각할 수 없는 혁신적인 기능을 대거 담고 있다. 물론 그런 만큼 가격도 높아져서 누구도 감히 구입한다는 생각을 할 수 없을지도 모르지만.
어쨌건 델이 발표한 래티튜드 Z는 제품 그 자체만 놓고 본다면 혁신 덩어리다. 이 제품은 16인치의 작지 않은 크기의 액정, 그러나 16mm의 얇은 두께, 2kg의 답지 않은 덩치를 갖추고 있다. 보통 화면 크기가 16인치 정도 되면 휴대는 꿈도 못꾸지만 래티튜드 Z는, 뭐 나쁘지 않을 정도다. 이 정도인데 휴대 못할 게 뭐가 있어?
잘 빠진 남성 모델에 멋드러진 수트를 입혀놓은 듯한 디자인도 일품.
무엇보다 무선 충전 및 도킹 시스템은 기술의 진보가 무엇인지 잘 말해주는 듯 하다. 자기장을 통해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특수 스탠드가 옵션으로, UWB 기술을 활용한 무선 도킹 시스템이 역시 옵션으로 판매된다.
무선 충전의 경우 팜 프리에서 처음 도입된 바 있다. 나는 충전보다 무선 도킹 시스템의 활용도가 더 높을 것으로 본다. 래티튜드 Z의 본체와 무선 도킹 시스템이 연결되면 노트북 본체와 각종 입출력 장치가 치렁처렁 선으로 엮이지 않아도 된다. 얼마나 바랬던 무선의 자유였던가!
휴대폰이나 PMP 등에 쓰이는 ARM 계열 프로세서 및 이와 함께 작동되는 리눅스 운영체제를 추가적으로 탑재해 긴 부팅 시간 없이 마치 PMP나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빠른 부팅과 간단한 웹 접속, 이메일 확인 등도 가능하다(인텔의 초저전력(ULV) 프로세서와 윈도는 당연히 설치된다).
이 밖에 명함 인식이 가능한 200만 화소의 웹캠과 각종 보안 기능, 단단한 설계는 덤이다.
앞서 말했듯 래티튜드, 특히 이번 래티튜드 Z는 누구나 쓸 수 있는 제품은 아니다. 1999달러부터 시작해 무선 충전 스탠드와 도킹 시스템 등 몇 가지를 추가하면 3000달러가 훌쩍 넘어버린다. 중대규모 기업의 C 레벨 정도가 이 제품을 소유할 수 있지 않을까.
델코리아 관계자에 따르면 이 제품의 국내 출시 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그는 기업용 노트북인 래티튜드 Z를 앞서 선보인 컨슈머용 노트북인 아다모와 비교했다. 다 좋으나 아다모처럼 잘 안팔려서 일찍 단종시키는 일은 없기를. 기술력을 상징하는 건 좋으나 HP처럼 혁신과 판매를 함께 취할 수 있기를.
태터앤미디어의 PC 전문 팀 블로그 PLAY PC가 지난 9월 10일부터 24일까지 PC 사용 실태에 관해 조사한 설문조사의 원본 데이터를 공개했다(나에게만). 나는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사를 내보냈다.
그러나 세부 항목이 궁금한 누군가를 위해 PLAY PC 측에 허락을 받은 뒤 원본 데이터를 이 곳 블로그에 공개한다.
세부적인 항목 구성에 신경을 써서 아주 의미있는 자료를 만들어냈다는 점도 돋보이지만 무엇보다 트위터를 모객의 도구로 활용한 시도가 멋져보인다.
정리를 했지만 다시 한 번 요약을 해보자면 ①가장 가지고 싶은 PC 타입은 울트라 씬 노트북이라는 점, ②전체의 절반 이상이 노트북이나 넷북을 가지고 싶어했다는 점 ③PC를 교체하거나 업그레이드를 하는 이유는 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했다는 점 ④PC 교체는 언제쯤 할 것인가에 대한 답으로 1년 이내가 가장 많았다는 점 등이다.
아래 그림은 이번 설문의 자세한 항목과 조사 결과다.
내년 상반기 출시될 32나노 제조 공정, 네할렘 마이크로 아키텍처 기반 프로세서(코드명 웨스트미어) 중 데스크탑PC용 클락데일 프로세서의 성능 테스트 수치가 공개됐다.
듀얼코어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판매되고 있는 코어2쿼드 Q9400 프로세서보다 높은 성능을 보이는 것이 흥미롭다. 이는 새로운 아키텍처를 적용함과 동시에 보다 향상된 그래픽 코어와 메모리 컨트롤러를 통합한 결과다.
클락데일 프로세서는 내년 상반기에 출시된다. 우리돈 20만원 내외의 가격을 형성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최근 출시된 린필드 기반 코어 i5, i7과 함께 네할렘의 대중화를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기사는 다음 링크.
[IDF2009] 32나노 웨스트미어 “네할렘 대중화 이끈다”
성능 테스트 자료는.. 직접 보시라.